포럼뉴스
템플스테이가 여수박람회 숙박시설로 활용되는 방안이 추진된다.
박준영 전남지사는 17일 오전 전남도청 서재필실에서 실국장 간담회를 갖고 "2012여수세계박람회 성공적 개최를 위한 숙박시설과 진입도로 등 각종 SOC 건설과 관련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 밝히고 이에따라 전남와 여수시가 각각 해야할 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지사는 특히 화엄사나 송광사, 선암사, 흥국사, 천은사 등 템플스테이를 활성화해 숙박시설로 대체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 “여수박람회 국제 내방객들이 머무르고 싶은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의 기호에 맞게 숙박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주변 사도, 낭도 등 관광지 개발을 서둘러 한옥민박을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향일암 주변에 대규모 레저시설을 갖춘 숙박시설을 조성한다면 박람회와 연계한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람회장 주변 풍광이 좋은 섬·해안지역에 유람선 등이 쉽게 정박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춰 관광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세계적 수준의 순천 갯벌 생태관을 여수 서부도로와 연결해 박람회 내방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박람회장 부지 주변 양식장을 이전해 마리나시설로 전환하는 것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남도장터와 남도미향, 해피굿팜 등 전남산 농수축산 식품의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먹거리’ 사이트로 통합체제를 구축, 각각의 서브 카테고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전남산 안전한 친환경 먹거리를 소비자가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소비자 중심으로 판촉활동을 펼쳐야 성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지사는 “가뭄때마다 저수지와 관정 개발에 예산을 투입해왔지만 투입한 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높지 않으므로 적은 양을 하더라도 한번 개발된 관정은 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하고 “수산연구소나 갯벌연구소 등 도 자체 연구소의 연구기능을 강화해 친환경자재를 연구 생산, 풍족한 어족자원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광남일보 정문영 기자 vita@gwangnam.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nomy.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준영 전남지사는 17일 오전 전남도청 서재필실에서 실국장 간담회를 갖고 "2012여수세계박람회 성공적 개최를 위한 숙박시설과 진입도로 등 각종 SOC 건설과 관련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 밝히고 이에따라 전남와 여수시가 각각 해야할 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지사는 특히 화엄사나 송광사, 선암사, 흥국사, 천은사 등 템플스테이를 활성화해 숙박시설로 대체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 “여수박람회 국제 내방객들이 머무르고 싶은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의 기호에 맞게 숙박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주변 사도, 낭도 등 관광지 개발을 서둘러 한옥민박을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향일암 주변에 대규모 레저시설을 갖춘 숙박시설을 조성한다면 박람회와 연계한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람회장 주변 풍광이 좋은 섬·해안지역에 유람선 등이 쉽게 정박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춰 관광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세계적 수준의 순천 갯벌 생태관을 여수 서부도로와 연결해 박람회 내방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박람회장 부지 주변 양식장을 이전해 마리나시설로 전환하는 것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남도장터와 남도미향, 해피굿팜 등 전남산 농수축산 식품의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먹거리’ 사이트로 통합체제를 구축, 각각의 서브 카테고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전남산 안전한 친환경 먹거리를 소비자가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소비자 중심으로 판촉활동을 펼쳐야 성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지사는 “가뭄때마다 저수지와 관정 개발에 예산을 투입해왔지만 투입한 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높지 않으므로 적은 양을 하더라도 한번 개발된 관정은 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하고 “수산연구소나 갯벌연구소 등 도 자체 연구소의 연구기능을 강화해 친환경자재를 연구 생산, 풍족한 어족자원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광남일보 정문영 기자 vita@gwangnam.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nomy.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