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이강현 효성 해외프로젝트 차장이 표동수 아시아개발은행 애널리스트에게 하는 말이었다.
지난 8일 오전 10시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 비바체 홀에서는 외국인과 한국인이 섞인 테이블마다 4~6명씩 머리를 맡대고 진지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었다.
이 차장은 이날 해외에서 수주할만한 사업들은 무엇이 있는지, 또 공적개발원조(ODA)로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 '글로벌프로젝트플라자(GPP)2009 상담회' 행사장을 찾았던 것.
이 차장은 표 애널리스트와 대화 중 "가스부문을 민간발전사업(IPP)으로 생각해보고 있어 시장조사단계에 들어갔다"며 필리핀 소재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담당하는 사회기반시설(SOC)사업들을 넌지시 물었다.
표 애널리스트로부터는 "필리핀에서는 주로 도로나 교통 쪽 사업들이 있다"는 대답을 들었다.
대신 이 차장은 스리랑카와 방글라데시 쪽 개발은행 관계자가 한국인이라 접촉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정보를 얻었다.
![]() |
대부분 참가자들이 건설사 관계자들이었지만 공 팀장은 설계사사무소에서 나온 실무진이었다. 공 팀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전정현 BNP파리바 서울지점 이사와 상담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공 팀장은 "앞으로 해외 설계사업을 추진할 때 파이낸싱에 보조가 필요하면 연락하라는 전 이사의 제안을 받았다"며 "현재 베트남, 두바이, 아제르바이젠에서 설계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더 큰 시장에 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며 행사장 참가 의미를 덧붙였다.
![]() |
이에 조정만 GS건설 글로벌사업지원팀 차장이 센더 부 대표와 대화에 나섰다.
조 차장은 "유로컵2012을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에 우크라이나와 공동으로 관심을 갖고 있다"며 관심을 보였다.
유로컵 관련 인프라에는 도로, 전기 등의 사업들이 필요할 예정으로 조 차장은 이번 사업이 EU기금을 이용한다는 장점을 가진다는 데 주목했다.
다만 아직 민관협력(Private-Public Partnership)을 하기 위해서는 폴란드 정부의 법령 개정이 필요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는게 조 차장의 평이었다.
또 조 차장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동구권 디폴트 위험도 존재해 차분히 수주에 접근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국기업 참가자들은 해외건설시장에서의 수주 목표를 달성키 위해 이 자리를 찾은 글로벌마케팅 관련 실무급들이었다.
이날 참가한 30여개 국내업체들은 국내 건설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수주에 눈길을 모으고 있었다.
실무급들은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하나라도 정보를 얻어내려고 분주한 모습을 하며 하루 일과를 행사장에서 마감하는 모습이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