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하이리치(www.Hirich.co.kr) 에널리스트 고석찬 (필명/소로스) |
국내 울산 1, 2공장에서 연간 PX(파라자일렌) 76만톤, PTA(고순도테레프탈산) 96만톤, PR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45만톤, MEX(메타자일렌) 16만톤, PIA(고순도이소프탈산) 20만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규모는 PIA 국내 2위(세계 2위), PET 국내 1위(세계 11위), PX 및 PTA 국내 3위 기업으로 생산제품의 90% 이상을 중국, 러시아, 유럽 등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다.
케이피케미칼은 최근 최대주주인 호남석유화학과 M&A설이 불거지면서 부각되고 있다. 롯데대산유화가 올 1월 호남석유화학과 합병하면서 케이피케미칼과의 합병가능성이 더욱 커졌는데, 본격적인 테스크포스크가 구성된다면 합병시너지도 기대해 볼만하다.
케이피케미칼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659억원과 3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중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97% 급증했다.
2008년의 경우 고유가로 인해 제품수요가 급감되면서 영업적자를 기록했지만, 2009년 초부터 PTA(고순도 테레프탈산) 가격이 급등세를 타고 있고, 하반기 PTA(고순도 테레프탈산)수요증가가 계속 될 것으로 예상돼 지속적인 실적 호전이 기대된다.
또한 2009년 6월 연간 47만톤을 생산하는 파키스탄 PTA업체를 인수하여 극동아시아 공급부족으로 인한 리스크를 해결했다. 26만톤 규모의 유럽(EU) PTA 물량을 태국에서 파키스탄으로 대체할 계획인 것. 이 밖에도 러시아 PET 30만톤 생산설비진행으로 연간 1조1,000억원 정도의 해외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케이피케미칼은 이렇듯 실적 호전과 영업환경 개선으로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1분기 영업이익의 두 배 가량 초과 경신 할 것으로 예상되며, 3분기 시장 역시 2분기 실적을 뛰어 넘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하반기는 케이피케미칼이 절대적인 실적가치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시즌으로 예상되는바, 단기 목표가 9,200원, 중기 목표가 12,500원을 제시한다. 손절가는 7,450이다.
[※ 부자 되는 증권방송 하이리치 애널리스트 고석찬(필명 소로스)/ 하이리치 소속 애널리스트가 제시한 최신의 종목리포트는 하이리치 사이트(www.Hirich.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리포트는 하이리치에서 제공하는 것이므로 아시아경제신문의 기사 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