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자동차 공장 따라하는 커피전문점?’
매출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 일본 도요타 자동차 따라잡기에 나섰다. 도요타의 유명한 자동차 제조방식 ‘린(Lean)'을 매장마다 도입한 것이다.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미국 1만1000개 매장에서 린 경영을 선보이고 있다. 스콧 헤이든 스타벅스 부사장은 직원 10명과 함께 ‘린 팀(lean team)’을 조직, 스톱워치를 들고 직접 매장을 돌며 이를 열성적으로 전파하고 있다.
린 방식의 가장 큰 목적은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최대화 하는 것이다. 직원들의 동선이 최소화되고 시간이 절약되면 고객들이 기다리는 시간이 짧아질 뿐 아니라 인건비도 줄어들어 수익개선으로 직결될 것이라는 계산에서다.
이를 위해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았다. 볶은 원두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스티커를 붙여 직원들이 원두를 고르느라 고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없앴다. 바리스타가 원두를 꺼내기 위해 카운터 아래로 허리를 구부리는 시간도 아깝다. 원두의 자리는 바리스타가 언제나 손을 뻗어 집을 수 있는 카운터 맞은편이다.
헤이든 부사장은 “바리스타의 불필요한 움직임이 그가 보내는 시간의 3분의1을 차지한다”며 이를 줄일 경우 같은 인력으로 더 많은 커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결과 스타벅스 오리건주 매장에서 커피 한 잔이 나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25초에서 23초로 2초 줄어들었다. 만드는 방법이 복잡한 프라푸치노의 경오 45초에서 8초나 단축됐으니 실효성은 증명된 셈이다.
스타벅스는 연간 매출의 24%인 25억 달러를 매년 인건비로 지불하고 있어 린 경영이 순조롭게 도입될 경우 수익면에서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안티 패스트푸드(anti-fast food)’를 외치던 스타벅스가 사실상 패스트푸드가 됐다는 비판도 잇따랐다.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판다’던 스타벅스만의 고급스러운 이미지 역시 훼손될 것으로 보인다.
직원들의 불만도 없지 않다. 시간 낭비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숨 돌릴 틈조차 없다는 것이다. 한 바리스타는 “회사가 직원을 로봇으로 바꾸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또 지금과 같이 스타벅스의 매출이 떨어진 시점에서 린 경영이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바클레이스 캐피탈의 제프리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이런 경경은 사람들이 스타벅스에 올 때만 도움이 된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매출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 일본 도요타 자동차 따라잡기에 나섰다. 도요타의 유명한 자동차 제조방식 ‘린(Lean)'을 매장마다 도입한 것이다.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미국 1만1000개 매장에서 린 경영을 선보이고 있다. 스콧 헤이든 스타벅스 부사장은 직원 10명과 함께 ‘린 팀(lean team)’을 조직, 스톱워치를 들고 직접 매장을 돌며 이를 열성적으로 전파하고 있다.
린 방식의 가장 큰 목적은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최대화 하는 것이다. 직원들의 동선이 최소화되고 시간이 절약되면 고객들이 기다리는 시간이 짧아질 뿐 아니라 인건비도 줄어들어 수익개선으로 직결될 것이라는 계산에서다.
이를 위해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았다. 볶은 원두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스티커를 붙여 직원들이 원두를 고르느라 고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없앴다. 바리스타가 원두를 꺼내기 위해 카운터 아래로 허리를 구부리는 시간도 아깝다. 원두의 자리는 바리스타가 언제나 손을 뻗어 집을 수 있는 카운터 맞은편이다.
헤이든 부사장은 “바리스타의 불필요한 움직임이 그가 보내는 시간의 3분의1을 차지한다”며 이를 줄일 경우 같은 인력으로 더 많은 커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결과 스타벅스 오리건주 매장에서 커피 한 잔이 나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25초에서 23초로 2초 줄어들었다. 만드는 방법이 복잡한 프라푸치노의 경오 45초에서 8초나 단축됐으니 실효성은 증명된 셈이다.
스타벅스는 연간 매출의 24%인 25억 달러를 매년 인건비로 지불하고 있어 린 경영이 순조롭게 도입될 경우 수익면에서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안티 패스트푸드(anti-fast food)’를 외치던 스타벅스가 사실상 패스트푸드가 됐다는 비판도 잇따랐다.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판다’던 스타벅스만의 고급스러운 이미지 역시 훼손될 것으로 보인다.
직원들의 불만도 없지 않다. 시간 낭비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숨 돌릴 틈조차 없다는 것이다. 한 바리스타는 “회사가 직원을 로봇으로 바꾸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또 지금과 같이 스타벅스의 매출이 떨어진 시점에서 린 경영이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바클레이스 캐피탈의 제프리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이런 경경은 사람들이 스타벅스에 올 때만 도움이 된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