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오리지널 좀비에 대해 잠시 알아보자. '좀비'라고하면 느리고 무자비한 살육을 일삼는 살아있는 시체를 떠올릴 것이다. 일반적인 좀비의 개념은 조지 로메로 감독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이란 영화에서 탄생했다.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자면 좀비 탄생의 배경엔 서인도제도 아이티섬의 비극이 자리한다. 유럽인에게 흑인 노예의 주공급원이었던 아이티섬. 동족을 배반한 주술사가 멀쩡한 사람들을 독한 마약을 사용해 뇌기능을 마비시켜 가사상태에 빠뜨렸다. 그다음 이들을 무덤에 파묻은 뒤 한밤중에 몰래 꺼내 유럽의 노예상인에게 팔아넘겼다는 것이다. 뇌기능이 마비된 이들은 제대로 된 사고를 할 수 없어 그저 시키는 일을 꾸역꾸역하는 노예가 됐다. 믿거나. 말거나.
여하튼 이런 슬픈 사연을 가진 좀비가 서양인의 시각에서 재해석되면서 잔인하고 무자비한 현대식 좀비 개념이 잡혔다. 로메로의 영화까지만 해도 둔하고 생각없던 좀비들은 점점 영악한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 '랜드오브데드'에선 살아있는 사람못지않은 영악함을 자랑하더니 '28주후'에선 발에 모터를 단듯 준족을 자랑하게 됐다.
멕시코 국경의 허름한 술집이나 영국의 소도시 등 출몰장소도 글로벌화됐다. 어찌보면 전설의 고향의 명작 '내 다리 내놔'의 한쪽발없는 시체도 좀비의 한 변형이라면 과도한 해석일까.
![]() |
데드스노우(2009)의 한장면. |
2009년작 토미 위르콜라 감독의 노르웨이 영화 '데드스노우'는 빠르고 명민한 좀비의 전형을 보여준다. 2차대전 때 눈속에 묻힌 나치잔당이 좀비화 되고 자신들이 감춘 보물을 발견한 남녀 의대생을 공격한다는 전형적 설정이다. 드넓은 설원이 등장하고 하얀 눈 위에 피가 뿌려진다. 도화지 위에 붉은 색으로만 낙서하듯 심플하지만 뚜렷한 시각적 충격을 준다. 익숙치 않은 북유럽영화이지만 좀비 내장에 매달려 '클리프행어' 패러디를 연출하는 등 헐리우드 영화못지않게 재치가 넘치는 장면이 많다. 설원을 달리는 좀비들과 지저분한 농담을 일삼는 주인공 패거리를 보며 친구들과 맘껏 웃고 즐기시길.
![]() |
새벽의 황당한 저주(2004). |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