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마련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친이(친 이명박).친박(친 박근혜) 진영은 장외 여론전을 강화하고 있다. 두 진영은 2일과 3일 잇따라 간담회와 토론회를 열어 '우군' 확보에 나섰다.
세종시 문제도 자연스럽게 여의도에서 지방으로 무대를 옮겨가고 있다. 당 핵심관계자는 3일 "그동안 정치권에서의 논쟁은 소모적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남은 것은 충청권을 설득시키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진 한나라당 대변인도 "정부의 대안이 충청도민들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쪽을 설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충청도민을 설득하는데 성공한다면 친박계도 충분히 받아들이지 않겠나"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 이성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세종시 무엇이 해법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이 대통령의 행정 비효율성 주장에 대해 "광화문 중앙청사와 세종시 간의 물리적 거리 120Km는 고속철도로 40분, 헬리콥터로 20분이 소요돼 시간거리 면에서 과천청사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서 "이번 세종시 건설을 통해 낡은 행정체계를 쇄신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세종시는 2020년 내지 2030년을 목표로 추진되는 미래 도시로 현재 지향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풀려고 해서는 안 된다"면서 "국가와 지역경쟁력 제고, 수도권 과밀해소, 국토의 균형발전 및 통일 등 다양한 가치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전날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송석구 공동위원장을 초청, 세종시 특강을 통해 수정론에 힘을 실었다. 송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9부2처2청 이전 혹은 원안 플러스알파(+α)보다 더 중요한 것은 충청 지역민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자존심의 상처"라면서 "정쟁과 갈등의 대상으로 전락한 것에 충청도민이 느끼는 자괴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위원회는 정부에 ▲적정성 ▲형평성 ▲공익성 등을 기준으로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일관된 건의를 하고 있다"며 세종시 인센티브로 인한 지역 역차별 우려를 일축했다.
간담회에는 모임의 대표인 안경률 의원과 차명진, 진수희 의원 등 친이계 25명이 참여했다. 모임에 참여한 한 의원은 "세종시에 대한 정부의 대안마련 노력에 당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면서 "일각에서 우려되는 특혜시비도 곧 해소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청와대도 적극적이다. 이 대통령은 전날 박근혜 전 대표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을 찾아 세종시 수정 추진을 위한 대국민 설득에 발 벗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세종시 때문에 기업도시, 혁신도시 등의 계획이 위축될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으나 전혀 그런 일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세종시 인센티브에 대한 지역 국회의원들과 주민들의 반발을 일축했다.
박형준 정무수석과 박재완 국정기획수석도 지난 30일 대전ㆍ충남지역 당협위원장과 만찬을 갖고 세종시 수정의 당위성을 알리는데 주력했다.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세종시 문제도 자연스럽게 여의도에서 지방으로 무대를 옮겨가고 있다. 당 핵심관계자는 3일 "그동안 정치권에서의 논쟁은 소모적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남은 것은 충청권을 설득시키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진 한나라당 대변인도 "정부의 대안이 충청도민들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쪽을 설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충청도민을 설득하는데 성공한다면 친박계도 충분히 받아들이지 않겠나"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 이성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세종시 무엇이 해법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이 대통령의 행정 비효율성 주장에 대해 "광화문 중앙청사와 세종시 간의 물리적 거리 120Km는 고속철도로 40분, 헬리콥터로 20분이 소요돼 시간거리 면에서 과천청사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서 "이번 세종시 건설을 통해 낡은 행정체계를 쇄신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세종시는 2020년 내지 2030년을 목표로 추진되는 미래 도시로 현재 지향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풀려고 해서는 안 된다"면서 "국가와 지역경쟁력 제고, 수도권 과밀해소, 국토의 균형발전 및 통일 등 다양한 가치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전날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송석구 공동위원장을 초청, 세종시 특강을 통해 수정론에 힘을 실었다. 송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9부2처2청 이전 혹은 원안 플러스알파(+α)보다 더 중요한 것은 충청 지역민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자존심의 상처"라면서 "정쟁과 갈등의 대상으로 전락한 것에 충청도민이 느끼는 자괴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위원회는 정부에 ▲적정성 ▲형평성 ▲공익성 등을 기준으로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일관된 건의를 하고 있다"며 세종시 인센티브로 인한 지역 역차별 우려를 일축했다.
간담회에는 모임의 대표인 안경률 의원과 차명진, 진수희 의원 등 친이계 25명이 참여했다. 모임에 참여한 한 의원은 "세종시에 대한 정부의 대안마련 노력에 당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면서 "일각에서 우려되는 특혜시비도 곧 해소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청와대도 적극적이다. 이 대통령은 전날 박근혜 전 대표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을 찾아 세종시 수정 추진을 위한 대국민 설득에 발 벗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세종시 때문에 기업도시, 혁신도시 등의 계획이 위축될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으나 전혀 그런 일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세종시 인센티브에 대한 지역 국회의원들과 주민들의 반발을 일축했다.
박형준 정무수석과 박재완 국정기획수석도 지난 30일 대전ㆍ충남지역 당협위원장과 만찬을 갖고 세종시 수정의 당위성을 알리는데 주력했다.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