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4일 KB국민은행연구소에 따르면 전국 144개 지역 시·군·구 아파트 가격은 보합세를 이뤘다.
특히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부산 영도구(0.6%), 익산(0.6%), 부산 사상구(0.6%), 논산(0.5%), 대전 유성구(0.3%)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금융규제 강화와 보금자리주택 공급에 대한 기대, 신규 분양시장으로의 관심 이동 등으로 기존 주택의 거래가 소강상태를 지속했다.
먼저 중랑구(0.2%)는 경전철과 상봉시외버스터미널 등의 호재가 매수심리에 영향을 주면서 묵동과 면목동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마포구(0.1%)는 DTI규제강화와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성산동이 하락했다.
강남구(0.1%)는 재건축추진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떨어졌으며 양천구(0.1%)는 금융규제 등으로 기존주택 처분이 어려워지면서 거래부진으로 하락했다.
금천구(0.1%)는 금천구심 도시개발사업의 가시화로 매수문의가 꾸준한 가운데 상승세를 나타냈다.
경기 광명(0.7%)은 하안동 두산위브트레지움(1248가구), 철산동 래미안자이 주공3단지(2072가구), 소하동 소하택지지구내 휴먼시아 등의 신규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동두천(0.2%)은 12월 신창비바패밀리 1~3단지(총 706가구)입주물량 증가, 송내주공 1,2단지 임대아파트의 5년후 분양전환 등으로 가격 하락곡선을 그렸다.
의왕(0.2%)은 11월 내손동 포일자이(2540가구), 청계동 휴먼시아(266가구), 포일동 두산위브2단지(447가구)등의 신규물량 증가 등 입주 물량 증가로 급매물이 많아지면서 가격이 낮아졌다.
반면 수도권외 지방지역은 가격이 오른 모습이다.
부산 영도구(0.6%)는 남항대교 개통, 동삼혁신도시내 국립해양박물관 개관, 태종대 유원지 및 중리산 일대 해양레저 관광단지 개발 방안 등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사상구(0.6%)는 사상공단 수요에 따른 전세물량 부족으로 매매전환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조정됐다.
전라 익산(0.6%)은 겨울 방학 학군수요, 신혼 부부수요 등으로 영등동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대전 유성구(0.3%)는 유성구 송강동과 연기군 금남면 대평리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연결하는 행정도시~대덕테크노밸리 간 국도 개통이 2013년으로 계획 됨에 따라 기대감이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보였다.
![]() |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