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17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중지됐던 해상사격훈련은 18일부터 21일 중에서 기상 조건과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날짜를 최종적으로 확정할 것"이라며 "이르면 18일 진행하며 사격훈련은 하루만 진행한다"고 밝혔다.
▲강도 높은 사격으로 군 신뢰회복= 연평도 포격도발은 6.25전쟁 이후 처음으로 우리영토가 공격당한 최악의 도발이다. 이에 국방부 장관이 경질됐고 군의 대비태세와 질타가 쏟아졌다. 군의 신뢰가 바닥에 떨어진 것은 물론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까지 나왔다. 이에 군 당국은 이번 사격을 계기로 자존심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군이 중지된 사격훈련을 연내에 실시키로 한 것은 우리 해상에서의 정당한 훈련인 이상 애초 계획대로 당당하고 떳떳하게 하겠다는 의지 때문이라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군 관계자는 "지난달 말 서해에서 진행된 연합훈련 때 중지된 훈련을 할 수도 있었지만 이번 훈련은 우리 군 단독으로 이미 계획이 수립되어 있었다"며 "애초 수립된 계획대로 연말에 소화하기 위해 중지된 훈련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북한의 포격 도발에 머뭇거리는 듯한 인상을 주지 않겠다는 뜻도 있다"면서 "북한군에게 우리 군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北 반발 때는 정밀타격으로 대응= 군 당국은 이번 사격을 위해 준비를 철저히 했다. 연평도 해병부대의 해상사격훈련 구역은 가로 40㎞, 세로 20㎞의 연평도 서남방 방향의 우리 해역이며, 사격훈련에는 K-9 자주포와 105㎜ 견인포, 벌컨포, 81㎜ 박격포 등이 동원될 것으로 알려졌다. 훈련의 강도는 지난달 23일 계획된 수준 이상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국회인사청문회를 통해 북의 추가 도발 때는 비례성의 원칙을 규정한 교전규칙보다는 자위권을 행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북한이 추가도발을 할 경우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연평도에 추가 사격을 할 경우에는 공군의 전투기 엄호아래 K-9자주포 등을 이용해 도발원점을 정밀타격할 방침이다. 확전을 막기 위해 도발원점 이외 지역은 타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北 추가도발 가능성은= 이번 사격훈련에는 주한미군은 물론 정전협정을 유지 관리하는 책임을 지는 유엔사 군정위 대표를 비롯한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이 참가한다. 북한입장에서 주한미군이 사격현장에 배치될 경우 추가도발은 곧 미국을 공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주한미군은 참관시켜 추가도발의 의지를 억제시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유엔사 군정위 대표를 비롯한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을 참가시켜 한국군의 훈련이 정전협정을 준수하는 가운데 정당하게 실시된다는 것을 부각시켜 객관성을 높이겠다는 뜻이다.
군사전문가는 "주한미군과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이 배치된 이상 연평도에 추가도발을 할 가능성은 미비하다"며 "통지문을 통해 반발하거나 추가도발을 하더라도 다른 지역으로 오발 등을 가장한 군사적 시위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낙규 기자 if@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