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임성한 작가의 드라마를 보며 웃을 수는 있다. 그러나 미소를 짓기란 불가능하다. 드라마 속 인물들은 집요할 정도로 결혼과 가정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정작 그들의 집과 가족은 보는 사람들을 오싹하게 만들 뿐이다. 장면이 아닌 언술로 제시되는 행복한 가정이란 결국 어떤 공감과 감동도 불러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위화감을 불러 일으킬 정도로 구체화되는 행복에 대한 강박은 심리적 공포를 자아낼 정도다. 임성한의 작품에 비해 파격과 기행의 농도가 옅을 뿐, 최근 방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족극 역시 평화로움과 따뜻함이 아닌 기묘한 공포를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 ‘가족호러물’로 칭해도 좋을 이 장르는 나름의 패턴을 갖추기 시작했다. 안방극장의 신 흥행 장르인 ‘가족호러물’의 법칙을 정리해 보았다. 행복한 여성을 만들기 위해 일단 가정을 파괴하고, 그 여성이 행복하다는 사실을 설득하기 위해 다른 여성들의 불행을 거침없이 초래하는 일련의 드라마들은 하나같이 뻔뻔해서 무섭다. 그리고 그 방식이 뻔해서 더 무섭다.
![]() |
![]() |
그런 의미에서 KBS <사랑을 믿어요>의 서혜진(박주미)이 끝내 불합리한 가정에서 탈출하지 못한 것은 아무래도 그녀가 파마의 시대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생머리의 영광이란 파마머리의 고통을 겪은 이에게 내려지는 보상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혹시 MBC <반짝반짝 빛나는>의 황금란(이유리)이 생머리에서 점차 화려한 웨이브 머리로 변화 한 것으로 이상의 법칙에 반기를 들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중요한 사실을 알려주겠다. 손님, 그건 고데기예요.
<#10_LINE#>
![]() |
![]() |
<애정만만세>의 오정희(배종옥)는 음독을 시도한 불륜녀에게 가려는 남편을 붙잡기 위해 맨발로 뛰어 나가다 교통사고를 당한다. 물론 ‘사물이 거울에 비치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이라는 백미러의 문구 때문에 놀란 남편이 갑자기 가속 하자 더 이상 쫓기를 포기하고 그 자리에 멈춰 서는 바람에 차에 치인 것이었지만, 집 안에서 분통을 터트렸다면 피할 수 있는 사고였다. <미쓰 아줌마>의 강금희 역시 남편이 불륜녀와 있는 모습을 목격하고 놀라 아이를 데리고 자리를 피하다 자동차와 충돌하고, <당신이 잠든 사이>의 오신영 또한 남편과 자신의 주치의, 그녀의 남편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을 본 후 달아나다 자동차 앞에서 주저앉는다. 그러나 파마머리의 여자주인공은 차에 치일지언정 죽음에 이르지 않으니, 너무 큰 걱정은 말자. 다만 아내를 두고 다른 여자와 바람을 피운 <불굴의 며느리>의 김홍구(윤다훈)는 아내의 사진이 도로로 날아가는 사소한 일에 놀랐다가 그만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게 되었으니, 가장 중요한 것은 교통법규 준수에 앞서 일처종사 하는 일이다.
<#10_LINE#>
![]() |
![]() |
그러니 <불굴의 며느리>의 오영심은 모텔에서 청소일을 하는 자신에게 말을 건네는 임지은(김유리)을 유심히 관찰해야 했다. 심지어 그녀는 남편이 일하는 홈쇼핑 채널의 유명한 쇼호스트. 목소리라도 알아들었더라면, 그래서 남편에게 그 여자 험담을 하겠다고 전화만 했더라면, 모텔 복도에서 둘이 옥신각신하는 꼴을 직접 목격할 일은 없었을 텐데 말이다. <미쓰 아줌마>의 강금희 역시 남편의 사업 파트너이자 대학 후배인 왕새미(정시아)가 낯선 외모로 다시 등장 했을 때 그녀를 환영했다가 남편을 빼앗겼다. <애정만만세>의 오정희 또한 다를 바 없다. 여행지에서 만난 모르는 여자가 잘 아는 닥터를 소개해 주겠다고 했을 때, 그녀가 자신의 남편을 유혹한 그 옛날의 여자이며, 그 닥터가 자신의 전남편임을 직감했어야 했다. 예쁜 여자, 어린 여자, 야한 여자보다 모르는 여자를 조심하라는 얘기다.
<#10_LINE#>
![]() |
![]() |
그러나 <사랑을 믿어요>의 경우를 볼 때, 남편의 외도로 인한 이혼의 상처가 없는 유부녀 직원은 아무리 사장의 마음을 사로잡아도 사랑의 결실을 맺을 수 없다. 연애시장에 있어서만큼은 기업인들의 윤리 의식이 제법 확실한가보다.
<#10_LINE#>
![]() |
![]() |
<불멸의 며느리> 역시 인연이 나선형구조로 꼬여 있기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다. 사업을 부도내고 달아낸 남편 때문에 사채업자들에게 쫒기는 한혜원(강경헌)은 우연히 문진우(이훈)의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그는 사실 그녀의 동창인 박세령(전익령)의 남편이며, 손윗동서인 오영심과 연인관계로 접어 든 문신우의 친형이다. 이쯤 되면 홈드라마에 내제된 일련의 코드를 짐작할 수 있다. 생활 속의 두뇌 가동은 장기적으로 치매를 예방하는 법이다.
<#10_LINE#>
![]() |
나나 무스쿠리: <애정만만세>의 오정희는 남편과의 추억이 담긴 곡이라며 ‘Donde Voy’를 계속 들었다. 나나 무스쿠리가 부른 것으로 유명한 이 곡은 이국적인 발음과 올드팝의 정서가 어우러지며 드라마의 주 시청층인 주부들의 감성에 소구한다. 그런 점에서 임성한 작가는 자신의 드라마 속에서 자주 나나 무스쿠리를 등장시켰다. 여주인공이 노래방 회식자리에서 그녀의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그리고 그녀의 노래를 좋아한 여주인공은 결국 착하게 산 보상을 받는다. 오정희는 기대를 좀 가져도 되겠다.
고모 or 이모: 빙의된 인물이 결국 행하는 것은 예언이다. 귀신의 힘을 빌어 사람들은 타인의 속마음을 짐작하고 운명을 발설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족극에서 고모와 이모들은 이미 귀신의 힘을 빌지 않고도 이러한 역할을 해 왔다. 마치 혼령처럼 서사 없이 어디선가 불쑥 등장하는 이들은 빙의되듯 집의 한 구석에 집을 부려놓고 온 가족들의 속마음을 중계하기 시작한다. 때로는 조카를 유혹한 불륜녀를 혼내주기 위해 눈에서 불을 뿜기도 한다. 귀신보다 무서우면 무서웠지, 못할 게 없다.
생식: 생야채즙은 임성한의 세계에서 건강을 위한 입문서와 같은 존재다. 그녀의 작품 속에서 음식이란 날 것 그대로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신경을 쓰는 동시에 딸기를 칫솔로 씻어야 할 정도로 주의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반짝반짝 빛나는>의 황금란은 몸이 아닌 마음을 위해 생곱창을 씹어 먹었다. 그리고 질긴 정도와 곱의 양을 측정해 품질 측정까지 해냈다. 생식을 하면 전자 혀를 갖게 된다는 보도를 접해도 놀라지 말자.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윤희성 nine@
10 아시아 편집. 장경진 three@
<ⓒ즐거움의 공장 "10 아시아" (10.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