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채권단이 삼안과 프라임개발의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 방안에 대한 결의를 한달간 늦췄다. 노동조합과 사측 등 이해당사자 간의 의견 대립이 심해 조정 기간을 갖기 위해서다.
삼안과 프라임개발의 주채권은행인 농협 관계자는 2일 "워크아웃 방안 결의일을 한달 연장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결의 시한은 내년 1월2일로 연기됐다. 원래는 오늘이 예정된 결의일이지만 한달간 연장이 가능하다.
채권단은 일단 삼안의 워크아웃 방안을 확정한 뒤에 프라임개발 워크아웃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프라임개발의 경우 비은행채권자가 많아 의견 조율이 더 어렵기 때문이다.
삼안은 회계실사 결과 정상화를 위해서는 165억원의 신규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측은 인력 감축 등을 전제로 채권단에 해외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에 대한 보증을 요구했다. 채권단은 신규 자금 지원과 기존 채무 만기 연장 및 금리 인하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삼안 노조는 인력 구조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고 있다. 삼안이 어려워진 것은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이 유동성 위기 때문인데 직원들의 희생만 강요한다는 것이다. 또한 노조는 채권단에 ▲대주주 지분 감자 ▲채권액·체불임금 출자전환 등도 요구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삼안과 프라임개발의 주채권은행인 농협 관계자는 2일 "워크아웃 방안 결의일을 한달 연장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결의 시한은 내년 1월2일로 연기됐다. 원래는 오늘이 예정된 결의일이지만 한달간 연장이 가능하다.
채권단은 일단 삼안의 워크아웃 방안을 확정한 뒤에 프라임개발 워크아웃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프라임개발의 경우 비은행채권자가 많아 의견 조율이 더 어렵기 때문이다.
삼안은 회계실사 결과 정상화를 위해서는 165억원의 신규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측은 인력 감축 등을 전제로 채권단에 해외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에 대한 보증을 요구했다. 채권단은 신규 자금 지원과 기존 채무 만기 연장 및 금리 인하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삼안 노조는 인력 구조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고 있다. 삼안이 어려워진 것은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이 유동성 위기 때문인데 직원들의 희생만 강요한다는 것이다. 또한 노조는 채권단에 ▲대주주 지분 감자 ▲채권액·체불임금 출자전환 등도 요구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