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19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소식이 전해지며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추진하는 개성공단 2단계 사업의 향후 전망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LH는 2002년 토지공사가 현대아산과 함께 북측과 개발업자 지정 합의서를 체결하며 개성공단사업에 참여했다. 1단계 사업은 2003년 6월에 조성공사에 착수해 2007년10월 준공됐다. 현재 123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4만6000여명의 북측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지난해 입주기업 생산누적금이 10억달러를 돌파했다.
2단계사업은 4㎢(약 120만평)의 공장부지와 더불어 골프장 등 체육시설과 관광 숙박 용지를 포함하면 8㎢(250만평)에 달하는 부지에 조성될 계획이다. 그러나 LH의 재정 악화와 정부의 보수적 대북 정책 등으로 현재까지 약 5년동안 사업이 시작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인 부지 조성안과 예산안도 처음 구상안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만약 김정일 위원장 사망으로 대북경협사업이 더 경색된다면 개성공단 2단계사업 추진도 불투명해진다.
LH의 개성공단 조성 사업 관계자는 "현재 입장을 밝히기 애매한 시기"라며 "향후 정부의 추진방향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LH관계자는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등 국가적 사건이 발생하면 대외 사업 자체를 일시적으로 잠정 폐쇄한다"며 "게다가 개성공단 사업은 LH가 독자적으로 하고 싶다고 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고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에 발맞춰 협의과정을 거쳐야하는 사업이므로 당분간 정세 흐름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로 통합2주년을 맞이한 LH는 향후 추진 과제 중 하나로 개성공단 2단계 등 남북협력사업을 꼽았다. 타 사업규모를 재무 역량 범위 안에서 축소하더라도 개성공단 2단계는 적극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한편 19일 김 위원장의 사망소식 직후 LH는 분당 본사 3층에 비상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본사와 개성지사간 24시간 연락체계 가동 등 비상근무체제로 들어갔다.
박충훈 기자 parkjov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LH는 2002년 토지공사가 현대아산과 함께 북측과 개발업자 지정 합의서를 체결하며 개성공단사업에 참여했다. 1단계 사업은 2003년 6월에 조성공사에 착수해 2007년10월 준공됐다. 현재 123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4만6000여명의 북측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지난해 입주기업 생산누적금이 10억달러를 돌파했다.
2단계사업은 4㎢(약 120만평)의 공장부지와 더불어 골프장 등 체육시설과 관광 숙박 용지를 포함하면 8㎢(250만평)에 달하는 부지에 조성될 계획이다. 그러나 LH의 재정 악화와 정부의 보수적 대북 정책 등으로 현재까지 약 5년동안 사업이 시작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인 부지 조성안과 예산안도 처음 구상안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만약 김정일 위원장 사망으로 대북경협사업이 더 경색된다면 개성공단 2단계사업 추진도 불투명해진다.
LH의 개성공단 조성 사업 관계자는 "현재 입장을 밝히기 애매한 시기"라며 "향후 정부의 추진방향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LH관계자는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등 국가적 사건이 발생하면 대외 사업 자체를 일시적으로 잠정 폐쇄한다"며 "게다가 개성공단 사업은 LH가 독자적으로 하고 싶다고 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고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에 발맞춰 협의과정을 거쳐야하는 사업이므로 당분간 정세 흐름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로 통합2주년을 맞이한 LH는 향후 추진 과제 중 하나로 개성공단 2단계 등 남북협력사업을 꼽았다. 타 사업규모를 재무 역량 범위 안에서 축소하더라도 개성공단 2단계는 적극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한편 19일 김 위원장의 사망소식 직후 LH는 분당 본사 3층에 비상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본사와 개성지사간 24시간 연락체계 가동 등 비상근무체제로 들어갔다.
박충훈 기자 parkjov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