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6월 한 달간 전국 63곳의 사업장에서 총 4만831가구가 일반분양분으로 나온다. 이는 올 들어 최대치이자 4만7553가구를 쏟아낸 지난 2010년 11월 이후로도 가장 많은 물량이다.
지역별 예정물량을 살펴보면 경기가 1만7600가구로 가장 많다. 이어 충남(5040가구), 인천(3522가구), 서울(2988가구), 부산(2864가구), 충북(1863가구), 전북(1769가구), 대구(1664가구), 대전(860가구), 경남(715가구) 등의 순이다.
수도권 대 지방의 물량 비중은 6대 4 정도로 수도권이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김충범 부동산1번지 팀장은 "수도권은 상반기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동탄2신도시 동시분양을 비롯해 보금자리와 재개발, 뉴타운 등의 인기 물량이 분양에 돌입하고, 지방은 혁신도시 물량들이 대거 선을 보일 예정이라 수요층의 관심이 고조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삼성물산=삼성물산은 강남구 대치동에서 청실아파트를 재건축 한 ‘대치청실 래미안’의 분양에 나선다. 총 1608가구 규모로 이중 122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지하철 3호선 대치역과 도곡역이 사업지와 도보권에 위치해 있고 남부순환로, 삼성로 등의 도로망도 잘 갖춰져 있다. 대도초, 대치초, 대청중, 역삼중, 단대부고, 숙명여고, 중대부고 등의 우수 학군이 형성돼있다.
◆강남구 강남보금자리 A6블록 삼성물산=삼성물산은 6월 강남구 강남보금자리지구 A6블록에서 ‘래미안 강남힐즈' 분양에 나선다. 총 1020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은 120~129㎡다. KTX 수서역 복합환승센터가 가깝고 롯데백화점(강남점), 현대백화점(삼성점)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자곡동 강남보금자리 지구 중에선 첫 번째 민간분양 아파트로 주거환경이 쾌적할 전망이다. 보금자리주택지구 안에 있지만 의무 거주요건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동대문구 용두4구역 롯데건설=롯데건설은 오는 6월경 동대문구 용두4구역을 재개발한 ‘용두4구역 롯데캐슬’ 분양에 돌입한다. 총 232가구 중 108가구가 일반공급 분으로 공급면적 82~145㎡다.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이 가깝고 종로, 청량리 일대로의 접근성이 우수하다. 인근에 종암초, 성일중 등의 학군이 형성돼있다.
◆성동구 금호14구역 대우건설=대우건설은 서울 성동구 금호14구역에서 ‘서울숲 푸르지오2차’ 분양을 앞두고 있다. 총 707가구가 건립되며 이 중 공급면적 146㎡, 23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일부 동과 층에 한해 한강과 중랑천 조망이 가능하고 서울숲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3호선과 중앙선 환승역인 옥수역, 3호선 금호역이 각각 도보 10분~15분 정도 거리다. 한남대교와 성수대교, 강변북로 등으로의 진입이 수월하다.
◆성동구 왕십리뉴타운1구역 대림산업·삼성물산·GS건설·현대산업개발=대림산업, 삼성물산, GS건설, 현대산업개발은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 1구역에서 ‘텐즈힐’ 분양에 나선다. 총 1702가구 중 600가구가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은 52∼179㎡다. 용적률이 낮고 동간 거리가 비교적 넓게 조성된다. 왕십리뉴타운 내 가장 넓은 면적이 청계천과 맞닿아 있어 우수한 조망권을 자랑한다.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이 도보 8분 거리에 위치해 있고, 올 개통이 예정돼있는 분당선 연장(선릉-왕십리) 노선의 수혜가 기대된다.
◆영등포구 도림16구역 GS건설=GS건설은 6월 도림16구역을 재개발한 ‘영등포 아트자이’ 분양에 나선다. 총 836가구 규모로 이중 291가구가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은 73~179㎡로 구성된다.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과 신도림역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것이 특징. 또한 사업지 인근으로 롯데백화점(영등포점), 신세계백화점(영등포점), 타임스퀘어 등의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다.
경기
◆김포시 감정동 GS건설=GS건설은 6월경 경기 김포시 감정동에서 ‘한강 센트럴자이’ 분양에 나선다. 총 3503가구의 대규모를 자랑하며 모두 일반에 공급된다. 단일 브랜드로는 김포 최대 규모다. 단지 인근의 허산, 솔래공원 등과 이어지는 둘레길이 조성될 계획이다.
◆김포한강신도시 AC-13블록 롯데건설=롯데건설은 김포한강신도시 AC-13블록 일대에서 ‘김포한강 AC-13블록 롯데캐슬’의 분양에 돌입한다. 총 1136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모두 일반에 공급된다. 김포한강로가 가까워 서울로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중심상업지구가 가까이 위치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남시 미사지구 A2블록, A28블록 LH=LH는 오는 6월 하남시 미사지구 A2, A28블록 일대에서 보금자리 본청약에 나설 예정이다. A2블록은 615가구, A28블록은 1541가구 규모이며 공급면적은 두 블록 합쳐 83~117㎡로 구성된다. 하남미사지구는 한강으로 흐르는 망월천을 연계한 실개천을 조성, 생태순환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또한 자전거 도로를 지구 전체에 연결해 친환경적인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화성동탄2신도시 A10블록 GS건설=GS건설은 동탄2신도시 A10블록 일대에서 ‘화성동탄2 센트럴자이’ 분양에 나선다. 총 547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은 95~111㎡로 이뤄진다.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개발한 ‘2인 가구 특화평면’을 최초로 적용할 예정이다.
◆화성동탄2신도시 A15블록 우남건설=우남건설은 동탄2신도시 A15블록에서 ‘화성동탄2 우남퍼스트빌’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 총 1442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 기준 84~110㎡로 구성된다. KTX, GTX 복합환승센터인 동탄역을 도보 5분 정도면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사업지 서측으로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가 자리잡고, 남측으로는 센트럴파크가 조성될 전망이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대우건설=대우건설은 6월경 연수구 송도동에서 주상복합인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분양에 들어간다. 총 551가구로 모두 일반에 공급된다. 송도중앙공원과 인접해 있다. 인천지하철 1호선 센트럴파크역과 인천대입구역이 가까이 위치한다. 또한 신송초, 신송중, 채드윅국제학교 등의 학군이 형성돼있다.
지방
◆부산 연제구 연산동 대우건설=대우건설은 부산 연제구 연산동에서 ‘부산 센텀 푸르지오’를 선보인다. 총 560가구 규모로 모든 가구가 일반공급 분이다. 일부 가구에 한해 수영강과 장산을 조망할 수 있고 수영환경공원도 가까이 위치해 주거환경이 쾌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번영로, 좌수영로 등을 통한 시내외 진출입이 쉽다.
◆경남 창원시 상남동 한화건설=한화건설은 오는 6월 경남 창원시 상남2구역을 주택 재건축한 ‘창원상남 꿈에그린’ 분양에 나선다. 총 812가구 중 134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인근에 외동초, 상남중, 창원남중, 창원남고 등의 학군이 형성돼 있다. 또한 롯데마트, 롯데백화점, 성산아트홀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대구 동구 봉무동 포스코건설=포스코건설은 대구 동구 봉무동 일대에서 ‘이시아폴리스 더샵 4차’ 분양에 나선다. 총 774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된다. 첨단산업, 업무, 주거기능을 갖춘 복합단지이며 금호강, 봉무공원, 팔공산이 가까이 위치해 주거환경도 쾌적할 전망이다. 경부고속도로 도동분기점과 인접해 있고 KTX 동대구역도 가깝다.
◆전남 목포시 옥암지구 11블록 한국토지신탁=한국토지신탁은 오는 6월 전남 목포시 옥암지구 11블록에서 ‘목포 옥암지구 코아루’ 분양에 돌입한다. 총 316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되며 공급면적 109㎡로 단일형이다. 사업지 인근에 남악신도시 중심 상업지와 하당신도시 상권이 형성돼 있다. 전라남도청, 전라남도경찰청 등의 주요 관공서도 가깝다.
◆충남 세종시 1-4생활권 M7블록 현대건설=현대건설은 6월경 세종시 1-4생활권 M7블록에서 ‘세종시 힐스테이트’ 분양에 나선다. 총 876가구 규모로 모두 일반에 공급된다. 사업지 우측으로 중심행정타운이 인접해있어 출퇴근이 매우 용이할 전망이다. 또한 근린공원 및 호수공원이 인근에 위치해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할 것으로 보인다.
◆충남 천안시 차암동 한화건설=한화건설은 6월경 충남 천안에서 ‘천안 꿈에그린 스마일시티’ 분양에 돌입한다. 총 1052가구 규모로 이중 411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천안지역에 2년 만에 들어서는 물량으로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SMD 천안사업장이 도보권에 위치한다. 백석산업단지, 천안제3산업단지 등이 인근에 있다.
박미주 기자 beyond@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