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지방세수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허가하고 있는 도내 골프장 건설이 정작 세수 확보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운영 중인 골프장은 올해 9월 말 기준 135개로 이들 골프장에서 거둬들인 지방세는 총 958억 원이었다. 이는 골프장 한 곳에서 7억 원 가량의 세금을 내고 있는 셈이다. 지방세수를 확대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골프장을 늘려야 한다는 경기도의 주장에 비춰볼 때 세수 규모가 적다는 게 중론이다.
경기도의회 김달수 의원은 6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방세수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골프장 건설에 나섰지만 정작 세수에는 큰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환경오염과 지역주민 간 갈등 조장, 생태계 파괴 등을 일으키는 골프장 건설 정책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경기도가 앞으로 골프장 건설 승인 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개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김문수 지사의 골프장 승인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김 지사 취임 후 경기도내 골프장은 모두 43곳이 승인됐다. 승인된 골프장 면적은 총 3567만8700㎡에 달한다. 이는 축구장 한 면 크기인 1만800㎡와 비교할 때 3304개의 축구장 면적과 맞먹는 크기다.
일부에서는 이에 따라 강원도와 같은 '골프장민관협의회' 등을 발족해 골프장 건설에 따른 문제해결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운영 중인 골프장은 올해 9월 말 기준 135개로 이들 골프장에서 거둬들인 지방세는 총 958억 원이었다. 이는 골프장 한 곳에서 7억 원 가량의 세금을 내고 있는 셈이다. 지방세수를 확대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골프장을 늘려야 한다는 경기도의 주장에 비춰볼 때 세수 규모가 적다는 게 중론이다.
경기도의회 김달수 의원은 6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방세수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골프장 건설에 나섰지만 정작 세수에는 큰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환경오염과 지역주민 간 갈등 조장, 생태계 파괴 등을 일으키는 골프장 건설 정책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경기도가 앞으로 골프장 건설 승인 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개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김문수 지사의 골프장 승인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김 지사 취임 후 경기도내 골프장은 모두 43곳이 승인됐다. 승인된 골프장 면적은 총 3567만8700㎡에 달한다. 이는 축구장 한 면 크기인 1만800㎡와 비교할 때 3304개의 축구장 면적과 맞먹는 크기다.
일부에서는 이에 따라 강원도와 같은 '골프장민관협의회' 등을 발족해 골프장 건설에 따른 문제해결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기도 패럴림픽 메달리스트 성과급 차별지급 '논란'
- 경기도 문화관련 산하기관 경조사비 지출 '맘대로'
- 경기도 수원 연고 프로야구10구단 창단···KT와 MOU
- 경기도 69개 공공기관중 12곳만 장애인 의무고용 지켜
- 경기도 학교급식 한우 '1등급→3등급'조정···70억 절감
- "문제있는 경기도 산하기관장 서둘러 조치 취해야"
- 경기도 현주소는?···고용·출산 '낙제' vs R&D지출 '우수'
- 경기도 해안가쓰레기 수거비용 내년 3억5천···40%↑
- 경기도 식품제조업 '신고제→등록제'전환
- 경기도농기원, 골프장 잔디 잎마름병 치료 미생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