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장승기 ]
박준영 전남도지사는 4일 “미래 식량 부족과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 대한민국 발전에 전남이 앞장서고 후손들에게 밑거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자”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왕인실에서 3월 정례조회를 갖고 “과거에는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느냐’에 따라 후속대책을 마련하는 수동적 입장이었다”며 “이젠 우리 스스로 연구하고 시대에 적절히 대응해 대한민국 운명을 바꾸는 데 전남이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래학자들의 진단을 종합해보면 생물산업과 에너지문제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현안이다”이라고 역설했다.
박 지사는 “에너지문제는 심각해 석유문명은 앞으로 30년을 가기 힘들고 시추로 인한 지반 침하 및 지진 등 부작용이 이미 일어나고 있다”며 “선진국에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노력했지만 우리는 불행히도 이 산업에 뒤처져 있어 전남이 친환경농수산 생물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지사는 또 “갈수록 휴일이 늘고 있어 그동안 수도권에서 멀다고만 느껴졌던 전남으로의 여행이 늘어날 전망”이라며 “늘어나는 여행객들의 수요에 대비해 숙박시설을 갖추는 데 총력을 기울이자”고 독려했다.
장승기 기자 issue9899@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준영 전남도지사는 4일 “미래 식량 부족과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 대한민국 발전에 전남이 앞장서고 후손들에게 밑거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자”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왕인실에서 3월 정례조회를 갖고 “과거에는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느냐’에 따라 후속대책을 마련하는 수동적 입장이었다”며 “이젠 우리 스스로 연구하고 시대에 적절히 대응해 대한민국 운명을 바꾸는 데 전남이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래학자들의 진단을 종합해보면 생물산업과 에너지문제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현안이다”이라고 역설했다.
박 지사는 “에너지문제는 심각해 석유문명은 앞으로 30년을 가기 힘들고 시추로 인한 지반 침하 및 지진 등 부작용이 이미 일어나고 있다”며 “선진국에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노력했지만 우리는 불행히도 이 산업에 뒤처져 있어 전남이 친환경농수산 생물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지사는 또 “갈수록 휴일이 늘고 있어 그동안 수도권에서 멀다고만 느껴졌던 전남으로의 여행이 늘어날 전망”이라며 “늘어나는 여행객들의 수요에 대비해 숙박시설을 갖추는 데 총력을 기울이자”고 독려했다.
장승기 기자 issue9899@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