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2008~2011년 무선충전 방식별 특허출원건수 비교 그래프 |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스마트폰 사용이 크게 늘면서 부족한 배터리의 충전을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증가세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술에 관한 특허는 2008년 41건에 머물렀으나 2009년 98건, 2010년 173건, 2011년 180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팔리고 있는 무선충전기는 기기에 자기장을 걸어줘 전류를 만드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기와 배터리가 맞닿아야만 충전되므로 충전 중엔 통화를 할 수 없는 등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무선 랜 지역에 가면 무선인터넷(Wifi)을 쓸 수 있는 것처럼 특정지역에 가면 충전할 수 있는 자기공명방식이 인기다. 2009년 이후 관련특허도 자기유도방식보다 1.6배(2009년), 2.3배(2010년), 1.5배(2011년) 더 많이 출원됐다.
![]() |
자기공명방식 출원인별 특허출원 비율 분석그래프 |
2008년 이후 자기공명방식 특허출원비율은 ▲국내 대기업 49% ▲외국기업 26% ▲국내 개인 포함한 중소기업 5% ▲학교 및 연구기관 21%로 나타났다.
출원의 절반을 차지하는 대기업의 자기공명방식 특징은 장치, 보정, 제어관련기술이 74%에 이른다. 특히 충전효율 및 충전 중 문제점을 풀기 위한 보정, 제어기술이 다수를 차지한다.
강해성 특허청 전자심사과장은 “자기공명방식이 상용화되면 와이파이지역과 같은 무선충전 지역이 생겨 기술과 시장에 새 흐름을 만들 것”이라며 “자기공명방식의 상용화를 위한 특허출원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