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이는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필두로 과천, 분당 등지의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전국 아파트 가격의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1가구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다. 또 강남 3구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해제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정책적 혼선이 이어짐에 따라 이같은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18일 KB국민은행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4월13~4월17일) 전국 아파트 가격이 평균 0.1% 정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개월만의 첫 상승이다.
KB가 조사한 144개 지역 중 43개 지역 집값이 상승했다. 매매가격이 상승한 지역은 지난주(34개)보다 증가한 43개 지역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과천(3.4%), 강동구(0.9%), 양천구(0.8%), 서초구(0.6%) 순으로 조사됐다.
![]() |
상승의 주요인은 역시 강남이었다. 강남 11개구는 0.3%를 기록, 지난주 0.2%에 이어 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의 상승 요인은 저금리, 정부의 규제완화 및 개발호재 등의 요인으로 부동자금이 재건축아파트 등에 유입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또 부동산가격 바닥론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매수심리도 4주 연속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동구(0.9%), 양천구(0.8%), 서초구(0.6%), 강남구(0.4%), 송파구(0.4%)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재건축 아파트는 최근 서울시의 소형평형 의무비율 유지 발표에도 불구하고 용적률
상향, 임대주택 의무비율 폐지 등 기존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서울 강북 14개구는 지난달 30일 이후 강보합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구(0.3%)는 상암지구 133층 랜드마크빌딩 착공(9월)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지속했다. 종로구(0.6%)는 내수동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했다. 성동구(0.1%)는 한강변 초고층 통합개발 첫 사업지인 성수지구에 대한기대감으로, 용산구(0.1%)는 한남뉴타운 기본 계획 발표로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 과천(3.4%)은 도시지구단위 계획이 공람되면서 재건축 용적률 상향 기대감으로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다.
이천은 저가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0.3% 하락했다. 안성(0.3%)은 이사수요 증가로 상승했다. 성남분당구(0.3%)는 강남 재건축 완화 등에 따른 기대감이 증가하면서 강남과 비슷한 비율로 상승했다.
인천은 6주간의 하락세를 접고 보합으로 돌아섰다. 서구(0.1%)는 급매물 소진 후 소
폭 상승했다. 연수구(-0.1%)는 인근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부산은 수영구(0.1%)가 계절적인 수요 증가로 중·소형 중심으로 상승했다. 동래구와 연제구도 각각 0.1% 상승했다.
대구 수성구와 달성구는 각각 0.1% 하락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