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굿모닝신한증권은 19일 철강주 중에서도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안정성과 성장성을 겸비한 종목이라며 업종 탑픽으로 꼽았다.
김민수 애널리스트는 "포스코는 원가절감의 능력에서 글로벌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800만t의 조강생산능력 증설을 계획하고 있는 등 국내외 투자를 공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 투자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대제철은 봉형강 국내 1위 판매업체로서 정부의 건설 부양책 등 투자 확대로 봉형강의 수요회복이 예상되며 2010~2011년에는 고로 1,2기 가동으로 판재류업체로서의 도약 등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철강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 김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건설부양책 등 공공부문의 투자확대, 재고조정 일단락과 자동차 업체의 가동률 상승, 조선사들의 건조량 증가 등 수요산업 회복, 저가의 원재료분 투입, 환율하락 등을 이유로 올해 하반기 철강사들의 영업이익 개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국내외 경기 부양책 등으로 봉형강의 수요회복이 다른 철강제품 중 가장 먼저 나타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민수 애널리스트는 "포스코는 원가절감의 능력에서 글로벌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800만t의 조강생산능력 증설을 계획하고 있는 등 국내외 투자를 공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 투자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대제철은 봉형강 국내 1위 판매업체로서 정부의 건설 부양책 등 투자 확대로 봉형강의 수요회복이 예상되며 2010~2011년에는 고로 1,2기 가동으로 판재류업체로서의 도약 등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철강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 김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건설부양책 등 공공부문의 투자확대, 재고조정 일단락과 자동차 업체의 가동률 상승, 조선사들의 건조량 증가 등 수요산업 회복, 저가의 원재료분 투입, 환율하락 등을 이유로 올해 하반기 철강사들의 영업이익 개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국내외 경기 부양책 등으로 봉형강의 수요회복이 다른 철강제품 중 가장 먼저 나타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