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반경 3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도 방사선량이 매우 높은 지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가 주민대피 범위를 재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에의 조사 결과 후쿠시마 제1원전 30km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방사선량이 크게 다르며, 3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도 방사선량이 매우 높은 지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 물질의 확산 정도가 지형이나 풍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결과는 후쿠시마현의 대기중 방사선량 관측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후쿠시마현이 대기중의 방사선량을 관측한 결과, 지난 15일부터 24일 오후 4시까지 계속해서 옥외에 있었을 경우 노출된 방사선량은 원전에서 북쪽으로 24km 떨어진 소우마시에서 620마이크로시버트, 원전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이타테무라에서 4000마이크로시버트로 측정됐다.
원전에서 40km 떨어진 지역의 방사선량이 일반인의 평상시 1년간 노출량인 1500마이크로시버트를 크게 웃돈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마다라메 하루키 위원장은 “시스템을 통한 예측 결과 방사성 물질의 확산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이에 따라 주민 대피 범위를 상황에 맞게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쿄여자대학교의 히로세 히로시 교수는 “방사선량이 관측 지점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체르노빌 원전 사고 때도 밝혀진 사실”이라면서 “정부는 예측 결과를 더 빨리 공표해 대비 구역 설정에 활용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민 대비 구역을 원전 기준 반경으로 설정한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대처였다”이라고 비난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km 이내 거주자들에게 대피령을, 20~30km 이내 거주자들에게 자발적인 대비 권고를 내린 상태다.
공수민 기자 hyunh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26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에의 조사 결과 후쿠시마 제1원전 30km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방사선량이 크게 다르며, 3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도 방사선량이 매우 높은 지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 물질의 확산 정도가 지형이나 풍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결과는 후쿠시마현의 대기중 방사선량 관측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후쿠시마현이 대기중의 방사선량을 관측한 결과, 지난 15일부터 24일 오후 4시까지 계속해서 옥외에 있었을 경우 노출된 방사선량은 원전에서 북쪽으로 24km 떨어진 소우마시에서 620마이크로시버트, 원전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이타테무라에서 4000마이크로시버트로 측정됐다.
원전에서 40km 떨어진 지역의 방사선량이 일반인의 평상시 1년간 노출량인 1500마이크로시버트를 크게 웃돈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마다라메 하루키 위원장은 “시스템을 통한 예측 결과 방사성 물질의 확산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이에 따라 주민 대피 범위를 상황에 맞게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쿄여자대학교의 히로세 히로시 교수는 “방사선량이 관측 지점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체르노빌 원전 사고 때도 밝혀진 사실”이라면서 “정부는 예측 결과를 더 빨리 공표해 대비 구역 설정에 활용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민 대비 구역을 원전 기준 반경으로 설정한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대처였다”이라고 비난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km 이내 거주자들에게 대피령을, 20~30km 이내 거주자들에게 자발적인 대비 권고를 내린 상태다.
공수민 기자 hyunh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