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아시아경제 안준영 기자]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측근중의 한 사람인 무사 쿠사 외무장관이 30일 영국으로 망명했다. 이에 따라 교착상태인 리비아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반정부군에 대한 무기 공급을 놓고 서방국가들 사이에 파열음도 일고 있다.
BBC 방송과 타임지등 주요 언론들은 개인 자격으로 이틀간 튀니지를 방문했던 무사 쿠사 리비아 외무장관이 30일 영국 런던의 남서쪽에 위치한 판버러 공항에 도착했으며 망명을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외무부는 "쿠사 장관은 카다피 정권의 핵심 인물이며 국제 외교를 총괄했다"며 "그는 장관직을 사임했다"고 말했다.
리비아 전쟁 종식 방안과 카다피 권좌 축출에 관한 고급 정보를 갖고 있는 무사 쿠사 외무장관의 망명은 카다피 정권에 큰 타격을 안겨 줄 것으로 점쳐진다.
또한 카다피의 오랜 측근이었던 만큼 다른 리비아 고위인사들의 탈출 러시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쿠사 장관의 친구이자 리비아 이슬람 투쟁단의 전직 지도자였던 노만 베노트만은 "쿠사 장관이 리비아를 국제사회에 복귀시킬수 있는 핵심 인물이었다" 며 "다른 리비아 고위 관리들의 탈출을 부채질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리비아 반정부군은 가다피 친위부대의 공격에 밀려 수도 트리폴리 동쪽에 있는 라스 라누프에서 퇴각했다고 미국의 소리 (VOA) 등 주요 언론들이 30일(현지시간) 전했다
리비아 반정부군이 주도하는 국가과도위원회의 아브델하피드 고가 부의장은 반정부군이 중화기로 무장된 리비아 정부군의 총공세에 밀려 후퇴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반정부군은 또한 카다피의 고향이자 수도 트리폴리의 방어벽인 시르테 외곽에서도 카다피 친위부대의 거센 저항을 받아 나흘째 발이 묶여 있다.
반정부군이 화력의 열세로 후퇴를 거듭하자 미국과 영국 등은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29일 주요 방송사들과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반군을 무장시키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고 밝혔고, 알랭 쥐페 프랑스 외무장관은 반정부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할 준비가 됐다고 했고 캐머런 영국 총리도 상황에 따라 반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이탈리아와 러시아, 밸기에, 중국 등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마우리치오 마사리 이탈리아 외무부 대변인은 30일 "리비아 반군을 무장시키는 것은 논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수단"이라며 "국제사회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반군 사이에 테러리스트인 알 카에다 조직원이 있어 지원된 무기가 테러집단에 흘러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안준영 기자 daddyandrew@
안준영 기자 daddyandrew@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BBC 방송과 타임지등 주요 언론들은 개인 자격으로 이틀간 튀니지를 방문했던 무사 쿠사 리비아 외무장관이 30일 영국 런던의 남서쪽에 위치한 판버러 공항에 도착했으며 망명을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외무부는 "쿠사 장관은 카다피 정권의 핵심 인물이며 국제 외교를 총괄했다"며 "그는 장관직을 사임했다"고 말했다.
리비아 전쟁 종식 방안과 카다피 권좌 축출에 관한 고급 정보를 갖고 있는 무사 쿠사 외무장관의 망명은 카다피 정권에 큰 타격을 안겨 줄 것으로 점쳐진다.
또한 카다피의 오랜 측근이었던 만큼 다른 리비아 고위인사들의 탈출 러시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쿠사 장관의 친구이자 리비아 이슬람 투쟁단의 전직 지도자였던 노만 베노트만은 "쿠사 장관이 리비아를 국제사회에 복귀시킬수 있는 핵심 인물이었다" 며 "다른 리비아 고위 관리들의 탈출을 부채질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리비아 반정부군은 가다피 친위부대의 공격에 밀려 수도 트리폴리 동쪽에 있는 라스 라누프에서 퇴각했다고 미국의 소리 (VOA) 등 주요 언론들이 30일(현지시간) 전했다
리비아 반정부군이 주도하는 국가과도위원회의 아브델하피드 고가 부의장은 반정부군이 중화기로 무장된 리비아 정부군의 총공세에 밀려 후퇴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반정부군은 또한 카다피의 고향이자 수도 트리폴리의 방어벽인 시르테 외곽에서도 카다피 친위부대의 거센 저항을 받아 나흘째 발이 묶여 있다.
반정부군이 화력의 열세로 후퇴를 거듭하자 미국과 영국 등은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29일 주요 방송사들과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반군을 무장시키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고 밝혔고, 알랭 쥐페 프랑스 외무장관은 반정부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할 준비가 됐다고 했고 캐머런 영국 총리도 상황에 따라 반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이탈리아와 러시아, 밸기에, 중국 등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마우리치오 마사리 이탈리아 외무부 대변인은 30일 "리비아 반군을 무장시키는 것은 논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수단"이라며 "국제사회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반군 사이에 테러리스트인 알 카에다 조직원이 있어 지원된 무기가 테러집단에 흘러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안준영 기자 daddyandrew@
안준영 기자 daddyandrew@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