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뉴스
![]() |
[아시아경제 태상준 기자] 동서고금, 나이고저, 결혼유무를 막론하고, 세상 사람들은 모두 마음 속 한 켠에 최고로 로맨틱한 순간이 자신에게도 일어날 것을 희망하며 살아간다. 당연히 그 다음 수순은 최고의 섹스일 것이다. 이제는 철저히 ‘전설’로 남아버린 이름인 성의학자 알프레드 킨제이(Alfred Kinsey)는 전체 인류를 남자, 여자 그리고 한술 더 떠 이성애자와 동성애자로 구분해 각각 하루 24시간 중 얼마나 섹스에 관련된 생각을 하는지 뇌 구조의 차이를 예로 들며 계량화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제 그 누구도 ‘킨제이 보고서’를 인용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삶에서 사랑과 섹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거대한지에 관한 킨제이의 확신은 여전히 진리다.
![]() |
‘산정호수의 맛’의 순임은 대형마트에서 일하는 계산원으로, 산정호수에서 열린 회사 야유회에서 30대 남자 동료와 함께 한 2인3각 경기에서의 묘했던 스킨십을 잊지 못한다. 딸이 애지중지하는 ‘어그 부츠’를 몰래 신고 무작정 산정호수로 향한 순임은 그곳에서 그와의 추억을 되새긴다. 다소 감상적인 ‘산정호수의 맛’에 비해 ‘미성년’은 아주 거칠고 직설적인 내러티브의 영화다. 30대 남자 진철이 10대 여고생 민정과 하룻밤 불장난을 저지른다. 이내 진철은 죄의식에 사로잡히지만 민정은 그 다음날부터 적극적이고 당돌한 방식으로 진철에게 대시한다. 대개 나이 많은 남자와 나이 어린 여자의 사랑을 비도덕적이고 비윤리적으로 치부하는 사회 통념을 비웃기라도 하듯 양익준 감독은 최대한 유쾌하고 직설적인 방식으로 명랑하고 발랄하게 둘의 사랑을 그린다. 영락없는 ‘똥파리’의 재판이다.
전반적인 영화 만듦새도 다르고, 연기의 톤 앤 매너도 이질적이다. 그러나 두 에피소드 모두 하고자 하려는 이야기는 명료하다. 사랑을 향한 갈망을 놓는 순간, 동시에 삶은 더 이상 살 가치가 없게 된다는 것. 영화의 제목인 ‘애정만세’는 두 감독의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담은 최고의 제목이다. 사랑 하나면 충분하다.
태상준 기자 birdcag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